본문 바로가기
  • ***꽃삽을 들고 *웃음꽃과 이야기 꽃*을***가꾸고 있는 소담의 작은 화단입니다
♣ 꽃들의 밀어/모정의 세월

사부곡 (思父曲)

by 소담* 2012. 2. 6.

한 아이가 누워있는 아빠의 배위에 올라앉았습니다.

 

이때를 기다리기라도 한 듯 아빠는 아랫도리에 있는 아들의

고추(?)를 따서 입가에 대고 후루룩~~~요란한 소리와 함께

맛있게 먹는 시늉을 짓습니다.

 

아이는 이런 아빠의 표정이 신이 나는지 싱글벙글

어쩔 줄을 모릅니다.

 

다시 아빠가 아들에게 조릅니다.

 

아가! 고추 좀 따 줄래!

신이 난 아들은 고추를 따서 계속해서 아빠의 입에 대줍니다.

 

한 번,두 번,세 번

 

후루룩~~~

후루룩~~

후루룩~

 

그럴 때 마다 아이의 웃음이 자지러집니다.

그렇게 아이와 아빠는 한참을 즐겁게 보냈습니다.

 
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
 

위 풍경은 소담이 세 살 때 아버지와의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모습입니다

 

세 살배기 아들인 제가 무슨 천재도 아니고 세 살 때의 기억을

어찌 기억하고 있겠습니까마는 여기에는 안타까운 사연이 있습니다!

 

그러니까 내 나이 세 살 때 아버지가 하늘나라에 가셨습니다.

 

중학교 다니던 사춘기 시절 어느 겨울날.

 

어머니! “혹시 아버지 하고 저하고 재미있는 어떤 기억들이 있나요!”

 

신기하게도 어머니는 마치 내 물음을 기다리기라도 한 것처럼

주저 없이 그때의 이야기를 죽 늘어놓으셨습니다.

 

그래서 위에 그려놓은 풍경은 어머니께서 들려준 이야기를 토대로

내가 상상으로 그린 아름다운 풍경이면서 슬픈 풍경이기도 합니다.

 

아버지를 생각하면 슬픈 생각이 참 많습니다.

 

초등학교 입학식 날에도 졸업식 날에도 가을 운동회 날에도 아버지의

자리는 늘 비어있었습니다

그렇지만 초등학교 시절 그때만 해도 어렸던 탓인지 아버지의 

빈자리를 전혀 의식하지 못했습니다. 그저 아버지가 일찍

돌아가셨기 때문에 안 계시는 것뿐이라고.

 

그러던 내가 거리를 배회를 하며 방황하던 사춘기에 접어들면서

갑자기 아버지의 빈자리가 커져가는 것을 느꼈습니다.

누구나 다 그랬겠지만 나 역시 사춘기 때 참 많은 방황을 했습니다.

 

학교를 관두고 도망을 가버릴까!

왜! 무엇 때문에 학교에 다녀야 하는지!

공부를 못하면 왜 두드려 맞아야 하는지!

정말이지 그때는 사는 것 자체가 짜증이었습니다.

 

그럴 때면 누군가에게 내 마음을 보여주고 싶고 기대어

보고 싶은 누군가가 필요했습니다.

그러나 친구도 가족도 그 누구에게도 나는 내 가슴을 쉽게

보여 줄 수가 없었습니다.

물론 어머니가 계셨지만 젊은 나이에 혼자된 탓인지

어머니는 어머니대로 무언가에 쫓기듯 늘 머리가 아프다고 했고

“뇌신”이라는 약을 보약이라도 되는 듯 매일같이 드셨습니다.

그래서 어머니에게도 내 마음을 열지 못했습니다.

 

그때 문득 떠오르는 아버지!

혹시 아버지가 계셨더라면…….

 

군대를 갈 때의 일입니다.눈물을 글썽이며 내 뒤를 따라 나서는

어머니가 왜 이렇게 슬프게 보였는지.

신작로까지 따라 오겠다던 어머니를 극구 말리며

집에 들어가시라고 수도 없이 일렀건만 어머니는

아직도 동구 밖 도랑가에 서서 내가 타고 가는 버스를 보기위해

신작로를 눈이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었습니다.

 

이런 어머니의 옆에 아버지가 있었더라면.

군에 가는 내 모습도 이렇게 슬프지 않았을 텐데.

 

결혼을 하기위해 분가해 나올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.

어머니는 쌀 두 가마와 함께 참깨, 들깨 그리고 당장 먹고

살아야 할 여러 가지 부엌 살림살이들을 준비해 놓고

눈물을 글썽거렸습니다.

 

“우리 막둥이 잘 살아야 할 텐데…….”

 

어머니의 눈물이 한참동안 이어졌습니다.

 

친구 봉고차에 짐을 싣고 떠나는데 뒤를 돌아보니

이날도 어머니는 내가 탄 차가 사라질 때 까지 내 뒷 모습을

끝까지 지켜보고 있었습니다.

이때도 어머니 곁에 아버지가 있었다면 슬픔은 작았을텐데.

 

이렇듯 아버지는 내게 있어서 늘 외로움과 쓸쓸함 그리고 아쉬움.

아픔으로 남아 있습니다.

 

고향에 가면 안방 벽에 어머니와 아버지의 사진이 나란히

걸려 있습니다

 

나는 이렇게 아버지를 사진속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

 

늘 사진 속에서나 보았던 우리아버지.

 

이런 아버지께서 어젯밤 꿈속에서 나타나셨습니다.

 

길을 걷는데 도로 건너편에서 아버지가 나를 쳐다보고 있었습니다.

나도 그런 아버지를 물끄러미 바라보았습니다.

 

그런데 깨어나 보니 너무나 허망했습니다.

 

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지나가 버리고 나는 나대로 아무 말 없이

지나쳐 버렸습니다.

 

서로가 남을 쳐다보듯 그렇게 지나가면서 꿈에서 깨었습니다.

 

참 이상한 꿈이었습니다.

꿈속에서라도 아버지를 만나면 엉엉 울어보기도 싶고

가슴에 안겨 보기도 싶고 손을 잡고 뛰어보고도 싶었는데

어찌해서 아버지와 아들은 아무런 말도 없이

그렇게 헤어져야 했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.

 

분하고 슬펐습니다.

 

애비의 얼굴을 모르는 놈은 꿈속에서 조차도 이렇게

사진속의 모습처럼 표정 없이 스쳐가야 하는건지 

갑자기 눈물이 주르룩 흘러내렸습니다.

 

그 사이 새 아침이 밝았습니다.

 

부지런 하던 와이프의 손놀림 덕분에 아침 식탁이 풍성합니다.

 

며칠전 정월 대보름날 와이프가 사다 놓았던

조기 두 마리가 노릇노릇 잘 구워진 채 식탁에 놓였있습니다.

 

젓가락을 들고 껍질을 벗겨내니 반짝반짝 윤이 나는 조깃살이

참 탐스럽니다. 절반을 떼어서 딸아이에게 남은 절반은

아들 밥그릇에 얹어주었습니다

 

맛있게 먹는 두 아이를 바라보고 있노라니 마음이 흐뭇하기

그지없습니다.

 

그 순간 갑자기 간밤 꿈속에 나타난 아버지가 생각이 났습니다.

 

세 살배기 막둥이가 고추를 따주고  후루룩 거리는 소리에 

자지러지게 웃고 있는 나를 바라보던 그때 아버지의 표정이

아마도 지금의 내가 두 아이를 바라보며 흐뭇해하는 것처럼

행복 했을 것을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 웃음이 절로 나왔습니다.

 

식사를 마치고 출근길에 나서는 길.

 

55년만의 한파라고 떠들썩하던 날씨만큼이나 코끝이 시리웠지만

이런 한파도 내 마음까지 시리게 하지는 못했습니다.

 

따뜻한 봄날 싹을 틔우는 초목들처럼 우리 딸 미래와 아들 희망이는

무럭무럭 자라고 있기 때문입니다

 

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아야지. 

 

 

 

 

 

'♣ 꽃들의 밀어 > 모정의 세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아! 어머님  (0) 2016.01.22
가래떡  (0) 2015.02.10
박꽃과 어머니  (0) 2013.06.29
삶의 여정(餘情)  (0) 2013.04.13
김장 김치 오던 날  (0) 2010.11.22

댓글